굿-즈
가이드
예매
아티스트
인터뷰
아카이브



아티스트 프리뷰
아티스트 인터뷰
미팅 컬렉터스
강명진
김가은
박지현
배성아
양효주
이준아
정덕영
정동훈
추성아
홍윤주
굿-즈는 작업을 유통할만한 구조가 마땅치 않으니 직접 만들어보자는 발상에서 시작된 행사다.

행사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미술품과 관련한 파생물을 구매하는 이들에게 관심이 생겼고, 지난 8~9월에 걸쳐 몇몇 ‘컬렉터’와 인터뷰를 마쳤다.

만나서 이야기해보니 참 즐거웠다.



강명진 음. 굿-즈는 일단 재미있을 것 같아요. 그동안 접근해보지 못한 방식이잖아요. 근데 제일 궁금한 건 거기에 오시는 관객들? ‘컬렉터’들?ㅎㅎ. 어떤분들이 여기에 관심을 갖고 계실지, 그들이 기다려지는 행사에요.

김가은 달력을 보면서 시간을 생각하잖아요? 달력에 숫자가 없으면 그건 그냥 작업일텐데, 어떤 시간의 단위, 예를 들어 ‘한 달’을 생각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왔어요. 그런데 어느 순간 딱 떠오른 거에요. 어? 이거.. 그런 작업인 것 같다..

박지현 처음 사는 그림은 어깨 넓이 정도였으면 좋겠다, 하는 기준이 있었어요. 책상에 세워두는게 아니라 벽에 걸어두고 싶었거든요. 예전부터 느낀 건데 그림을 걸어두면 사연이 생기더라고요. 저게 뭐야? 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되는.

배성아 구매한 작품이 잠시 시들할 수는 있어요. 그렇지만 시기가 지나면 또 좋아지는 때가 오더라고요. 이렇게 머리맡에 두고… 공부하다가 힘들 때도 한참 들여다보고 그래요. 저 그림이 제 정서를 닮아있어서 위로가 돼요.

양효주 창조적인 작업들을 삶에 가져와서, 그것과 닮아갈 수 있다면 세월 가는게 얼마나 즐거울까… 작품에서 그런 요소가 보일 때 하나씩 구매했어요. 지금까진 그렇지 못했으니 이제 그래야겠다고 생각해요.

이준아 저는 작가의 의지가 얼마나 반영됐는지가 (작품인가 상품인가의 문제에서) 중요한 것 같아요. 이중섭 손수건, 이런 건 솔직히 너무 싫죠. 그런데 양혜규 작가의 작업에서 파생된 구슬이나 팔찌 보셨어요? 그건 작업이라고 생각해요.

정덕영 이렇게 상황이 악화된게, 아까 말했듯이 2000년대 미술시장의 고질적인 병폐로 나쁜 사건들이 있었고, 다른 이유로는 이곳 그림값이 좀 비싸다고 생각되거든. 작가들이 허황된 자기욕망을 좀 내려놓아야 할 필요도 있는 것 같아.

정동훈 오직 굿-즈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작품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보통 유통이라는 프로세스를 거치기 마련인데, 굿-즈는 작가가 직접 판매를 하는 곳이니까? 굿-즈만을 위한 특별한 형태나 에디션이 있다면 멋질 것 같아요.

추성아 신생공간들이 많이 주목받는데, 오래 버티고 오래 하셨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그 안에서 여러 담론이 만들어지고 젊은 작가들에게도 힘이 될 것 같아요. 전시 기회도 많아지고, 판매도 갤러리보다 쉽고 친숙하게 확장될 수 있고.

홍윤주 유명한 작가라서가 아니라 그냥 내가 좋아서 이 그림을 산 건데, 그 작가가 다시 누군가로부터 주목 받고 좋게 평가받을 때 너무 기분이 좋아요. 아,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산다는게 이런 마음인가? 그런 걸 느꼈어요.